빙모상, 빙부상이 무슨뜻인가요??
본문 바로가기
다양한 정보

빙모상, 빙부상이 무슨뜻인가요??

by 칠공칠공 2022. 1. 22.

가족과 관계된 호칭은 막상 당자자가 아니고서는 쓸 일이 별로 없기 때문에 모르고 넘어가는 경우가 대부분일 텐데요. 신문기사 등에서 호칭과 관련된 단어를 보면 생소한 경우가 있습니다. 이번 시간에는 빙모상, 빙부상이 무슨 뜻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 

빙모와 빙부의 뜻

빙모(聘母)는 부를 빙과 어미 모가 합해진 단어입니다. 사전적인 뜻은 다른 사람의 장모를 일컫는 말입니다. 빙부(聘父)는 빙모와 마찬가지로 부를 빙과 아비 부가 합해진 단어로 다른 사람의 장인을 뜻합니다. 

 

 

일상생활에서는 빙모와 빙부라는 단어를 잘 사용하지 않고 장모, 장인, 장모님, 장인어른 또는 편하게 아버님, 어머님  같은 호칭을 사용하기 때문에 처음 들어 보신 분들이 많을 텐데요. 빙모와 빙부를 사용할 때는 부고 시 죽음을 높여부를 때 사용하게 됩니다. 

 

 

이외에도 장인과 장모를 지역에 따라, 사람에 따라서 빙장어른, 빙모님이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습니다. 하지만 이는 다른 사람의 장인과 장모를 높여 부르는 말이기 때문에 본인의 장인과 장모에게 사용하는 것은 부적절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. 이경우는 다른 사람이 나의 처부모를 가리킬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. 만약 자신의 처부모를 높여 부르고 싶다면 '장인어른'과 '장모님'을 사용하는 것이 맞습니다. 

빙모상과 빙부상의 뜻 

빙모와 빙부에 죽을 상(喪)을 붙여서 '빙모상'(聘母喪), '빙부상'(聘父喪)으로 불리게 됩니다. 사전적 의미와 같이 다른 사람의 장모와 장인에게 쓰이는 말로 결혼한 남자의 경우는 본인의 장모, 즉 아내의 어머니가 부고 시에 빙모상이라는 단어를 사용하게 되고 본인의 장인, 즉 아내의 아버지가 부고 시에는 빙부상이라는 단어를 사용하게 됩니다. 

 

 

빙모상, 빙부상을 당했을 때는 국가공무원 기준으로 5일의 휴가를 받을 수 있습니다. 공무원외에는 회사의 규정에 따라서 1일에서부터 5일까지 다양하기 때문에 본인의 휴가를 붙여서 사용하셔야 할 수도 있습니다. 

 

지금까지 빙모상, 빙부상이 무슨 뜻인지 알아보았습니다. 부고 시에 사용하는 말이기 때문에 되도록이면 사용하지 않는 게 좋겠지만 알고 있으면 꼭 당사자가 아니더라도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됩니다. 이글이 많은 분들에게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!